이것만은 꼭! 요즘 리더를 위한 경영 지식 2021.12.30 THU Today's Issue Pick 메타버스를 바라보는 4개의 시각 메타버스와 NFT, DeF로 대변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새로운 디지털 세상이 전세계 모든 산업계를 강타하고 있다. 이미 Web3.0으로 빠르게 진화해가던 온라인 생태계가 코로나19에 의한 비대면 생활화 등의 영향으로 변화 속도가 더 빨라지고 여기에 메타버스와 NFT 등이 더해지면서 상상속에서나 존재하던 생태계가 하나 둘 현실화되고 있다. 2008년 조용히 등장한 비트코인이 사용자의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은 불과 5년전인 2017년부터다. 비트코인의 활성화는 ICO 열풍을 불러왔고 이를 계기로 블록체인 산업이 본격 꽃을 피우기 시작했고 여기에 2016년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 이후 본격화된 AI(인공지능)기술과의 융합이 더해지면서 인류의 삶에서 디지털 세상이 오프라인 세상을 빠르게 대체하기 시작했다. 특히 블록체인으로 인해 본격적으로 디지털 자산의 가치가 인정받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변혁의 선두가 최근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는 NFT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변곡점에서 페이스북의 마크 주커버그는 페이스북 사명을 아예 ‘메타’로 바꾸었고 이는 모든 기업인들에게 더 이상 가상세계로의 진입을 늦출 수 없다는 경각심을 갖게 만들었다.
여기에 투자자는 물론 사용자들에게 조차 언론은 메타버스 세계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고 세뇌시키며 참여와 투자를 적극 권하고 있는 실정이다.
Today's Bizcuit 지금은 가상 신대륙 메타버스 개척시대! 누가 먼저 깃발을 꽂을 것인가? 코로나19로 많은 사회활동이 비대면으로 전환되면서 메타버스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메타버스란 초월·가상을 뜻하는 메타(Meta)와 세계·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합성한 용어인데요. 한마디로, 현실세계 그 이상을 경험할 수 있는 가상세계입니다.
사실 메타버스는 완전히 새로운 개념은 아닙니다. 2000년대 국민 SNS라고 할 수 있었던 싸이월드가 아주 기초적인 수준의 메타버스였다고 이해하면 쉬운데요. 싸이월드에서 쓰였던 가상화폐 ‘도토리’, 나를 대신하는 아바타 ‘미니미’, 가상의 공간 ‘미니홈피’로 우리는 이미 메타버스를 경험한 바 있습니다. 왜 메타버스가 다시 엄청난 관심을 받고 있을까요? 바로 메타버스에 돈이 몰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5G, 증강현실, 가상현실 등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오늘날 메타버스는 현실세계처럼 생산·경제 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진화했습니다. 메타버스의 선두주자로 불리는 미국의 게임 플랫폼 로블록스에서는 이용자가 직접 게임을 개발하고, 다른 이용자가 만든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데요.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이용하면 코딩을 모르는 사람도 게임을 개발할 수 있죠. 그리고 게임 개발자는 로블록스와 아이템 판매 수익을 나눌 수 있습니다. 2020년 기준 125만명의 개발자가 3억 2800만달러, 한화로 약 3156억원을 벌어들였죠. Today's Bizcuit Mini 지치고 힘들 때, 하늘을 보세요. 몇시, 몇분, 몇초, 이것을 정확히 알려주지 않는 시계가 있습니다. 두루뭉실하게 하루의 언제 쯤이라고 힌트만 주는 시계죠. 왜 이런 시계를 만든 걸까요?
오늘의 Daily Bizcuit은 여기까지 원우님,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시고 내일도 건강히 만나요! 오늘의 Daily Bizcuit은 어땠나요? 👉 피드백을 남겨주세요 👈 IGM을 만나는 방법 * Daily Bizcuit은 IGM 온라인 캠퍼스 Bizcuit 원우분들께 발송되는 메일입니다. 주소 |
|
IGM세계경영연구원이 발행하는 뉴스레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