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성과를 내는 팀의 공통점을 돌아보면서 성과 좋은 팀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리더의 일관된 노력이 중요합니다.
리더는 성과를 내는 팀이 가진 특징 하나하나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합니다. 고민한 생각을 구성원과 나누면서 행동으로 연결해야만 팀이 만들어질 수 있죠.
저는 이런 것들을 의식적으로 행동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목표를 자주 확인하고 공유하기 → 목표와 지표는 직접 관리하고 공유하기
구성원들의 강점 찾아주고 인정하기 → 가벼운 칭찬과 인정을 생활화하기
실수에 대해 관대하게 반응하기 → 실수의 포인트는 이야기하되, 해결에 포커싱 하기
좋은 일은 팀 전체와 나누기 → 공식 채널을 통해서 커뮤니케이션하기
개선 아이디어를 환영하는 분위기 만들기 → 회고 운영하기
처음부터 완벽할 수 없습니다. 팀을 만들기 위해서는 리더 또한 팀과 구성원을 바라봐야 합니다. 저도 부족한 점이 많고 실수도 자주 합니다. 이를 인지하고 바꿔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죠. 그 노력이 있었기에 몇 해 전의 제 모습과 비교했을 때 큰 변화와 성장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성과 좋은 팀을 만드는 건 팀과 구성원에 대한 관심인 것 같습니다.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는 것, 리더가 할 수 있는 그리고 해야 하는 중요한 책임이 아닐까요.
세계적인 리더십 권위자 스티븐 코비(Stephen R. Covey)는 직원들간의 신뢰가 조직의 성과에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말합니다. 신뢰가 떨어지면 일을 처리하는 속도도 함께 떨어져 그 처리 비용이 높아지고요. 반대로 신뢰 수준이 올라가면 일의 속도도 올라가 일을 처리하는데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거죠. 인간 관계에서 지켜야 하는 덕목쯤으로만 생각했던 신뢰가 이런 경제적 효과까지 가지고 있다니, 참 놀랍죠? 자, 그럼 우리 직원들간의 신뢰도를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