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이 연구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적어도 컨설팅과 같은 지식산업 분야에서 AI의 활용은 전체적으로 업무 성과를 상향평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생성형 AI를 도입하면 주니어 직원 몇 명을 채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가 나오는 게 바로 이런 맥락에서 나왔을 것이다. 업종이나 업무 내용에 따라 생성형 AI가 끼치는 영향은 조금씩 다를 수 있겠지만 궁극적으로는 기업 조직에서 일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 조직들은 변화 관리 차원에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조직 내 HR 관점에서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중략) 조직 내에 인공지능을 도입하는 것은 기업의 일하는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한다. 반복적인 업무의 자동화, 실무자의 역할 변화, 역량 개발 방향의 전환, 조직 문화와 협업 방식의 혁신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환’ 수준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조직의 성공적인 변화 관리를 위한 전략과 활동이 필요하며 그 중심에 HR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변화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한다면, 기업은 인공지능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