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실적을 냈지만 ‘아직 젊으니 다음 기회가 있지 않으냐’며 평가에서 밀렸습니다. 나이 많은 선배가 이번 승진 대상이라며 평가등급을 양보하라는 말까지 들었습니다.”
MZ세대 사이에서 연차 중심 평가 시스템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진학사 채용 플랫폼 캐치가 Z세대(1997~2012년 출생자) 구직자 185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2%가 직원의 성과와 역량을 기준으로 단계를 부여하는 레벨제 도입에 찬성했다. 찬성 응답자 중 43%는 공정한 평가를 이유로 들었다. ‘빠른 승진’(41%)보다 ‘공정성’에 중점을 둔 모습은 Z세대가 원하는 변화의 방향을 명확히 보여준다. “Z세대는 조급하다”는 시선도 있지만 이들의 주장은 오히려 합리적이다. 가장 공정한 평가 방식으로 ‘객관적인 수치’(53%)를 선택했고, 인공지능(AI)이나 데이터 기반 평가 시스템을 지지한다는 응답도 11%에 달했다. 이는 사람의 주관보다 수치와 데이터를 통한 평가를 원한다는 의미다.
레벨제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가장 큰 비율(42%)을 차지한 반대 이유는 내부 경쟁 심화 우려였다. 이는 Z세대가 개인의 성공만이 아니라 조직의 건강한 문화도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Z세대가 공정성 가치를 중시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Z세대는 디지털 네이티브로 빠른 피드백과 즉각적 평가에 익숙하다. 학창시절부터 치열한 경쟁 속에서 수치로 능력을 증명해야 했고 이런 경험은 ‘시간이 아니라 성과로 평가받아야 공정하다’는 가치관으로 이어졌다.
한 리크루팅 업체 에서 직장인 약 460명을 대상으로, ‘인사고과 평가제도’와 관련된 흥미로운 설문을 한 적이 있습니다. 먼저, 부하직원을 평가해야 하는 관리자급 이상의 직장인들에게 ‘자신이 부하들에 대한 평가를 공정하게 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는데요, 무려 75%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응답했습니다. 반면, 평가를 받는 입장에 있는 직원들에게 ‘자신이 공정한 평가를 받고 있는지?’를 물었는데요. 그 결과는 어땠을까요? 과반수가 넘는 60%의 응답자가 ‘그렇지 않다’고 대답했습니다. 즉, 상사는 평가를 공정하게 했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직원들은 그렇게 받아들이고 있지 않다는 건데요. 평가자들도 사람이다 보니 공정하게 평가하지 못하고, 오류를 범했을 수 있는데요. 평가자들이 흔히 저지르기 쉬운 오류는 5가지가 있습니다. 함께 살펴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