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신입사원의 출생 연도를 듣고 깜짝 놀란 경험이 누구나 있을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4년 OECD 국가 근로자 중 27%는 Z 세대(1997~2010년생)이며, 최근 기업에서는 Z 세대 구성원이 빠르게 늘고 있다. Z 세대는 향후 기업 성패를 좌우할 주요 인적자원이다.
한국리서치 정기 조사 ‘여론 속의 여론(2023)’에 따르면, Z 세대의 65%는 자신 세대가 다른 세대와 다르고, 59%는 Z 세대끼리비슷한 속성을 공유한다고 여긴다. Z 세대는 태어날 때부터 인터넷·스마트폰·소셜미디어(SNS) 등 디지털 기술과 친밀하다. 필요한 정보를 직접 검색하고, 스스로 선택해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익숙하다. 또 X 세대(1965 ~80년생)인 그들의 부모는 권위주의적인 양육 방식보다 선택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더불어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서 자라 개인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발휘하는 환경에 익숙하다.
이런 Z 세대 구성원의 특성을 강점으로 활용해 성과를 내려면 임파워링 리더십(em-powering leadership)이 중요하다. 임파워링 리더십은 구성원에게 명확한 목표·권한·책임·지도를 줘 맡은 일에 주인의식을 갖게 하는 걸 뜻한다. 어떤 리더는 “무조건 맡겼다가 큰 실수가 나면 어떡하죠?”라고 한다. 리더가 해야 하는 일의 권한까지 주라는 의미가 아니다. Z 세대 구성원의 강점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임파워링 리더십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풍부한 자원을 자랑하는 규모가 큰 기업과 작지만 부지런히 빠르게 움직이는 작은 기업이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누가 살아남고 성장할까요? 당연히 큰 기업 아니냐고요? 아뇨. 이제 세상의 모든 자원을 끌어다 쓸 수 있는 이 시대에 규모는 더 이상 경쟁우위가 되지 못합니다. 기민한 대응으로 기회를 포착하는 것이 중요하죠. 이를 위해서는 조직문화도 기존과는 달라야 하는데요.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