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가 흔들리면 그냥 ‘개판’ 나는 거예요. ‘그냥 나 혼자 욕먹으면 되지’ 정도는 리더의 책임감이 아니에요. 어떻게 해서든지 우리 팀의 목적을 달성하게 만드는 것이 진짜 책임감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화제인 넷플릭스 오리지널 예능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이하 흑백요리사)’의 두 차례 팀 대결에서 리더를 맡아 단호한 리더십으로 압도적 승리를 끌어낸 최현석(52) 셰프를 지난 8일 서울 강남구 레스토랑 ‘쵸이닷’에서 만났다. ‘흑백요리사’는 요리사 100명이 최고의 자리를 놓고 대결하는 요리 예능이다. 요리 명장급인 ‘백수저’ 셰프 20명, 아직 명성은 백수저에 못 미치지만 나름의 실력과 포부를 갖춘 도전자 ‘흑수저’ 셰프 80명이 붙는 치열한 대결을 그리며 인기를 끌었다.
팀 대결은 총 두 차례 있었는데 최 셰프는 두 번 다 팀 리더를 맡아 승리를 이끌었다. 팀원 중엔 미 백악관 만찬을 맡았던 에드워드 리, 조리 명장 안유성 셰프 등 수준급 요리사도 있었지만 ‘최현석 팀’은 다른 팀과 달리 잡음이나 분열 없이 목표를 향해 움직였다. 그 과정에 메뉴도 안 정하고 주요 재료를 싹쓸이하거나, 매출을 불리려고 음식 단가를 아주 높게 설정하는 등 파격적 결단을 내려 상대팀과 시청자에게 충격을 주기도 했다. ‘비열하다’는 비난도 적잖았지만, 결과는 모두 최 셰프의 승리였다. 그가 생각하는 리더십은 무엇인지 묻자 그는 주저하지도 않고 말했다. “‘뽀대’가 나야죠. ‘우리 리더는 실력자’라는 믿음을 팀원에게 줘야 한다는 뜻입니다.”
모든 리더는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성과창출을 위해 동분서주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열심히 일해도 구성원들의 눈에는 책임감이 부족해 보이는 리더가 있는데요. 도대체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일까요? 바로 리더가 구성원들과의 업무관계 속에서 책임감 있는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구성원들은 리더의 일거수일투족을 관찰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실제 모습 만큼이나 리더가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도 중요하죠. 그런데 이때 리더의 세 가지 행동이 책임감 있는 이미지를 훼손한다고 하는데요.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