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 변화의 주기가 점점 더 짧아지고 있다.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내부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조직 구조, 성과제도를 포함한 조직 운영 방식을 빠르게 변경해 나간다. 조직에서 추진하는 변화 과제의 결과는 어떨까? 아쉽게도 변화 성공률은 그다지 높지 않다. 조직 변화를 추진한 기업을 조사한 CEB의 연구에 따르면, 조직 변화의 성공률은 34%에 불과했고, 실패율은 50%, 나머지 16%는 혼재된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자들은 성공적인 조직 변화를 이끌기 위한 방법을 단계별로 제안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존 코터(John P. Kotter) 교수의 8단계 변화 모형이다. 기업 변화를 연구한 코터 교수는 조직 변화를 실패하는 기업들의 특징을 발견하게 된다. ‘과도한 자만심을 그대로 방치함’, ‘강력한 변화선도팀이 없음’, ‘비전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거나 인식하지 못함’, ‘비전을 충분히 전파시키지 못하여 공감대 형성에 실패함’, ‘비전 전파에 방해가 되는 요인을 제거하지 못함’, ‘단기적인 성공 사례를 만들어 내지 못함’, ‘샴페인을 너무 일찍 터트림’, ‘경영혁신을 조직문화로 숭화시키지 못함’의 8가지 실수가 조직 변화를 실패로 이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과도한 자만심’이란 변화 필요성에 대한 전사적인 공감대 확보 없이 ‘일단 시작하면’, ‘밀어부치면’ 될 것이라고 믿는 안일함을 의미한다.
여러분 조직, 혹시 허구한날 틀에 박혀 그 날이 그 날 같이 일하고 있진 않나요? 분위기가 그러면, 아이디어 좀 내라고 해 봤자 아무도 관심을 보이지 않죠. 새로운 걸 해보자고 해도 귀찮게만 생각 하고요. 바로 이런 조직이 ‘고인 물’ 조직입니다. 매일 습관처럼만 일하다가, 모르는 새 쇠퇴해버리죠. 이런 고인 물 조직에서 벗어나, 빨리 변화의 물꼬 트는 법.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