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찌다스’가 등장한 지 2년이 됐다. 구찌가 아디다스와 협업으로 선보였던 컬렉션의공식 명칭은 ‘익스퀴지트 구찌(Exquisite Gucci)’였다. 구찌는 ‘역대급 컬래버’ ‘기대를 뛰어넘는 협업’이라는 찬사를 들었고 밀레니얼 세대(1981~96년생)에게서의 브랜드 존재감을 강력하게 구축했다는 평을 들었다. 리브랜딩의 대표적 성공 사례로 꼽힌다.
마케팅은 ‘시장을 만드는 것’, 브랜드는 ‘의미를 만드는 것’이다. 브랜딩은 ‘브랜드의 의미를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원래 브랜딩은 ‘이름 짓고 슬로건 뽑아내고(버벌 브랜딩)’ ‘로고나 패키지 등 그림 그리는(비주얼 브랜딩)’ 작업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예전에는 그렇게 쓰였다. 브랜딩을 기술적인 작업으로만 생각하면 ‘로고나 심벌 등 비주얼 요소를 바꾸는 것이 리브랜딩’이라고 착각할 수 있다.
브랜딩은 브랜드의 ‘의미를 경험하게 하는 활동’, 즉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다른 표현이다. 그렇기에 리브랜딩을 ‘브랜드 리뉴얼(브랜딩 요소를 바꾸는 작업)’로 보면 안 된다. 리브랜딩이란 다시(re) 브랜딩(brand-ing)을 한다는 말, 그래서 리브랜딩은 ‘브랜드 경험을 다시 만든다, 브랜드 경험을 개선한다’는 의미여야 한다. 좋아진 브랜드 경험으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개선되고 호감도가 상승해서 그 결과 매출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기업 가치를 높이려는 활동이 리브랜딩이다. 리브랜딩을 하게 되는 계기는 다양하다. 개념적인 정리를 위해 유형화가 필요하다. 리브랜딩 유형은 목적의 방향성(긍정 강화냐 부정 약화냐)과 집행의 시기성(상대적으로 선제적인가 사후적인가), 두 축으로 크게 나눠볼 수 있다.
기존 브랜드를 다시 사랑 받게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럴 때는 ‘리브랜딩(Re-Branding)’을 활용하면 좋은데요. 리브랜딩이란 브랜드의 본질은 지키되, 소비자 선호도, 환경 변화, 신기술 등을 반영해 ‘브랜드를 재창조하는 활동’을 말하죠. 사례를 통해 자세히 살펴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