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기기가 삶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고 신체의 일부로 느껴지는 시대다. 세계 인터넷 사용자들은 하루 평균 6시간 37분을 스마트폰, 태블릿PC, TV 같은 스크린을 쳐다보며 살아간다. 무언가를 놓치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불안감에 우리는 자꾸 스마트폰을 확인하게 된다. 그러는 사이 집중력을 잃어가고 있다.
킹스칼리지런던 조사에 응한 영국 성인들은 하루 평균 스마트폰 확인 횟수가 25차례일 거라고 답했지만, 실제로는 잠금 해제를 한 횟수가 49~80회에 달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예전보다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졌다” “소셜미디어와 TV가 주의력을 끊임없이 빼앗고 있다”고 답했다.
인간이 집중력을 상실한 시대를 맞아 그 이유가 무엇인지, 어떻게 극복해내야 하는지를 끈질기게 파고든 영국의 중견 언론인 요한 하리(44)에게 전 세계의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인간이 집중을 못하는 병리 현상을 분석해 하리가 지난해 출간한 ‘도둑맞은 집중력(원제 Stolen Focus)’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로 떠올랐다. 책을 내기 위해 그는 3년간 세계를 누비며 200명 넘는 전문가를 만났다.
사람의 뇌에는 무의식 중에도 정보를 거르는 필터가 있습니다. 바로, 그물 모양의 활성체계, ‘망상활성계(Reticular Activating System, RAS)’인데요. 망상활성계는 우리가 보고 듣는 수만가지 정보 중 필요한 정보만 저절로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필터 덕분에 우리는 평소에 친숙하거나 관심 있는 정보만 선택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것이죠. 망상활성계는 조직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쉬고 있거나 다른 생각을 하고 있다가도 목표 달성에 필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고 걸러주기 때문입니다. 이 필터의 효과를 톡톡히 보려면 오늘의 비즈킷에서 말씀 드리는 2가지를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