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 속 생각을 읽고 문장으로 나타내는 인공지능(AI) 모델이 나왔다.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fMRI) 장비를 이용, 뇌에 전극을 꽂지 않고도 뇌 언어 영역의 활동을 탐지하고 이를 해독해 내용을 거의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의식은 있지만 언어 기능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 에 1일(현지시간) 실렸다. 미국 텍사스대학 연구진은 자원자 3명을 fMRI 장비에 넣고 16시간 동안 이야기 팟캐스트를 들려주며 뇌 피질 영역의 활동을 기록했다. 이를 통해 듣는 내용의 의미와 뇌 활동 사이의 관계를 탐지하고, 이 데이터를 AI 모델에 학습시켰다. 이 AI 모델은 오픈AI의 챗GPT나 구글 바드의 기반이 된 구글의 트랜스포머 모델을 일부 활용했다.
AI와 IoT가 만나 초강력 스마트 시대를 연다!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핵심 기술, AIoT
AIoT란,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의 약자로 IoT 즉, 사물인터넷과 AI 즉, 인공지능을 결합한 기술을 말합니다. IoT는 가전제품, 웨어러블, 공장 장비와 같은 각종 사물을 인터넷으로 연결한 기술인데, 여기에 사람처럼 사고하고 행동하는 AI가 융합된 것이죠. 자, 그렇다면 이 두 기술이 만나 대체 어떤 시너지를 발휘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