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꽤 재미있는 일을 경험한 적이 있었다. 캠퍼스를 걸어가고 있는데 100여 m 앞 도서관 입구 쪽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었다. 그 광경을 먼발치에서 지켜보던 일행 중에서 동료 교수 한 사람이 이렇게 말했다. "저기 뭐 안 좋은 일이 있나봐요? 사람들이 모여 있잖아요." 그런데 반대편에서 걸어오던 다른 학과 교수 한 분께서 반가운 표정으로 우리 쪽으로 다가와 인사를 건네면서 이렇게 말하는 것이 아닌가? "저 도서관 앞쪽에 뭐 좋은 일이 있나 봅니다. 사람들이 모여 있잖아요." 일행은 실소를 터뜨렸다. 같은 사건을 보고 두 사람의 추측이 이리도 달라질 수 있으니 말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많은 원인이 작용하겠지만 그중 핵심은 스트레스 수준이다. 우연의 일치겠지만 사람들이 모인 그 광경을 부정적으로 해석한 동료 교수는 당시 여러 가지 자질구레한 문제들 때문에 스트레스가 심했으니 말이다. 왜 그럴까. 이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리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
끝내지 못한 일이 이들은 사람을 심리적으로 긴장하게 하고, 그 일에 미련을 갖게 해 더 오래 기억하게 한다고 합니다. 이걸 자이가르닉 효과라고 하지요. 이렇게 마무리하지 못한 일들이 머리에 쌓이면, 그 일들이 계속 떠오르며 긴장감과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데요. 창의적인 생각을 해내거나, 새로운 일에 몰입하기도 어렵게 만들죠. 우리 머리 속을 복잡하게 만드는 자이가르닉 효과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