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는 고객들이 음식이 잘 익는지 확인하려고 요리 중 오븐의 문을 평균 10번 이상 연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조리 중 오븐을 열면 내부 온도가 변해 요리 맛에도 영향을 주기 마련이다. 여기에 착안해 바깥에서도 오븐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도록 만든 게 ‘LG 인스타뷰 더블 전기오븐레인지’다. 사용자가 오븐의 유리면을 ‘똑똑’ 두드리면 안쪽 조명이 켜져 조리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9월 미국에서 출시한 이 제품은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3’의 혁신상 수상작으로 뽑혔다. 29일 LG전자에 따르면 이 회사의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LG ThinQ)’ 생태계를 기반으로 한 가전제품 실사용 분석데이터가 고객 요구 반영에 톡톡한 역할을 하고 있다. 씽큐 애플리케이션(앱)에 등록된 가전에서 매달 수집되는 데이터만 20TB(테라바이트)에 달한다. LG전자는 수집한 데이터를 정밀 분석해 제품 기능 개선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정수기에 음성인식 기능을 적용한 게 대표적 사례다. 고객들 중 250mL, 500mL 등 정해진 옵션을 사용하지 않는 고객 비중이 40%나 됐다. 그렇다고 고객이 눈금을 보면서 양을 조절하는 건 불편할 수밖에 없다. ‘LG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정수기’는 출수구 아래 컵을 놓은 뒤 “하이(안녕) 엘지, 냉수 220밀리리터 줘”라고 하면 버튼 조작 없이도 정확한 양의 물을 받을 수 있다.
글로벌 컨설팅 회사인 Capgemini와 MIT가 전세계 400여개 대기업을 조사에 디지털을 잘 한, 디지털 마스터 기업을 선정했습니다. 버버리, 아마존, 스타벅스, 나이티 등이 선정되었습니다. 디지털화라고 하니 으레 IT기업이 주를 이룰 거라 생각하셨을 텐데요. 결과가 조금 의외인가요? 이 기업들의 공통점은 기술을 단순한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을 활용해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주고 있다는 건데요. 대체 어떻게 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