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은 성공한 대통령으로 꼽힌다. 그는 많은 이슈 가운데 우선순위를 정하는 능력 그리고 이를 관철하는 설득력까지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통령학 학자들이 말하는 대통령의 성공 요인이다.
다른 말로 하면 어젠다 선점 능력이 탁월했다고 할 수 있다. 어젠다도 간명했다. 감세, 예산 절감, 국방력 강화였다. 다시 말해 ‘작은 정부’와 ‘힘의 미국’이었다. 모든 것이 경제 문제였다. 레이건 전 대통령의 더 중요한 성공 비결은 취임 1년 내에 이를 실행했다는 점이다. 6개월 만에 감세안을 의회에서 통과시켰다. 이어 다른 예산은 절감하고 국방 예산은 늘렸다. 정권의 힘이 강력할 때라는 점을 활용했다. 그는 하나의 이슈가 해결되지 않으면 다른 이슈를 부각시키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당시 알렉산더 헤이그 국무장관이 우선순위에 없던 외교 문제를 부각시키자 교체해 버린 일화가 이를 보여준다.
물론 집권 초기 물가는 잡지 못했다. 하지만 금리를 계속 올리고 있던 민주당 출신 폴 볼커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에 대해서는 한마디 비난도 하지 않았다. 오히려 1983년 그를 연임시키며 결국 물가도 잡아냈다.
한국 사회는 ‘어젠다 실종’의 시간을 맞고 있다. 공정과 상식보다 정권 교체를 내세운 윤석열 정부는 미래 지향적 담론 형성에 실패하고 있다는 평가다. 느닷없이 등장한 ‘5세 초등학교 입학’ 같은 이슈는 역풍만 불러일으키고 있다. 물가 상승, 주가 하락, 급증하는 무역 수지 적자, 매달 올라가는 실업률, 시한폭탄 같은 가계 부채 등에 대한 대책은 보이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가장 중요한 집권 1년 차에 낮은 지지율, 어젠다 세팅 실패는 한국 경제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뉴욕대 스턴 경영대학원 조지 데이비드 스미스 교수는 직원들 마음 속에 핵심가치를 심어주려면 ‘회사의 역사를 활용하라’고 조언합니다. 회사가 걸어온 길에는 자신들이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의사결정을 해왔는지, 핵심가치가 잘 녹아 있기 때문이죠. 실제 역사 속에서 살아 숨쉰 핵심가치를 접하다 보면, 직원들은 자연스럽게 그것의 참된 의미를 알 수 있는데요. 게다가 역사는 실제 이야기(Story)여서 직원들이 더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죠. 따라서 리더는 회사의 역사 속에서 핵심가치가 잘 드러난 사건들을 찾아, 기회가 있을 때마다 직원들에게 이야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 사례를 함께 살펴 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