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왠지 몸이 아픈 것 같은데….” 직장인 이진수 씨(40·가명)는 퇴근 시간이 가까워질수록 극심한 갈등에 시달린다. 오후 6시만 되면 ‘주 3회 운동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은 희미해진다. 괜히 몸 상태가 안 좋은 것 같고, 더 피곤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렇다고 운동하겠다는 의지가 전혀 없는 건 아니다. 매달 꼬박꼬박 알람을 맞춰놓고 구에서 운영하는 스포츠센터 회원 등록 기간에 맞춰 온라인 등록을 한다. 기존 회원 등록 기간을 놓치면 제한 인원이 차버려 운동을 다닐 수 없어서다. 사실 지난달에는 딱 한 번밖에 못 갔지만, 이달도 어김없이 회원 등록을 완료했다.
누구나 한 번쯤 운동 앞에서 주저앉은 경험을 해봤을 것이다. 의지와 실천은 한 세트가 아니다. 새해 다짐 단골 레퍼토리인 다이어트, 영어 공부, 독서 등이 몇 년째 지켜지지 않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말로만 그친 허튼 다짐은 얼마나 많단 말인가.
부지런하고 모범적으로 사는 ‘갓생(God+生, 신 같은 삶)’이란 건 남의 일처럼 느껴진다. 의지는 충만한데 몸이 움직이지 않는 건 왜일까. 운동이나 공부같이 하고 싶지만, 하기 싫은 일에 조금이라도 수월하게 도전해 볼 방법은 없는지 살펴보자.
어느 회사든 나름의 목표가 있습니다. 목표는 직원들이 그곳을 향해 한마음 한 뜻으로 달려갈 수 있게 하죠. 여기, 대박상사의 올해 목표는 ‘중국시장 진출’입니다. 김사장은 회사 곳곳에 ‘성공적인 중국진출’이라는 목표를 걸어두고 직원들을 독려하고 있죠. 그런데 이게 어떻게 된 일 일까요. 이렇게 뚜렷한 목표를 눈앞에 두고도 직원들은 자신이 당장 뭘 해야 할지 몰라 우왕좌왕 헤매고 있습니다. 그러니 당연히 성과도 안 나고요. 대체 문제가 뭘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