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을 고민 중입니다.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좋은 회사에 가고 싶어요." "워라밸은 없고, 부서 사람들은 자발적 노예들입니다." 최근 대기업 블라인드에 올라온 글이다.
최근 한국경제인협회 조사에 따르면 MZ세대들은 취업하고 싶은 기업으로 '일과 삶의 균형이 보장되는 기업'(36.6%)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또 한 취업 플랫폼 조사에서도 좋은 직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일과 삶의 균형(38.8%)이 1위에 올랐다. 흥미로운 점은 두 조사에서 금전적 보상은 모두 두 번째로 중요했다는 것이다. 젊은 세대들에게 일과 삶의 균형은 필수인 셈이다.
이런 상황을 반영하듯 기업들이 다양한 제도나 리더십 변화를 통해 일과 삶의 균형을 지원하고 있는데, 여전히 혼란과 오해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략) 심리학 연구 주제 중에 재미와 의미라는 개념이 있다. 먼저 재미는 즐거움을 뜻한다. 그리고 행복은 즐거운 경험과 즐겁지 않은 경험,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이에 비해 의미는 단순히 즐거움을 얻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진정한 잠재력 실현을 향한 노력이라고 한다.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 주말을 희생하며 일하는 것 등은 힘들지만 성취와 보람과 의미를 경험하면서 행복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일과 삶의 균형도 이런 차원에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재미와 즐거움이 주는 행복도 있지만, 의미에서 느끼는 행복도 있기 때문이다. 이때 리더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직원들이 주인의식을 갖게 하고 싶다면, 먼저 회사가 이들에게 주인대접을 해줘야 하는데요. 세계적인 인사관리 전문 컨설팅 회사 Aon Hewitt는 직원들을 주인대접하기 위해 챙겨야 할 것들 중 첫 번째로 ‘정보(information)‘를 꼽습니다. 즉, 회사의 주요 관리지표를 비롯한 모든 경영정보를 직원들과 과감하게 공유하라는 건데요. 자기 집 재산과 운영상태를 모른다면 주인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죠. 실제로 정보가 없이 일하는 직원들은 자신이 하는 일이 회사의 비전과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러니 뭘 더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능동적으로 일할 수 없게 되죠. 여기, 이런 사실을 일찍부터 깨달았던 회사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