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기간 멜론은 한국 음원 시장에서 절대 강자였다. 하지만 수많은 경쟁자의 출현으로 멜론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한국 음원 시장의 절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했던 위세는 위축되고 있다.
많은 경쟁자 가운데 2016년 한국에서 공식 서비스를 시작한 ‘유튜브 뮤직’의 성장세가 심상치 않다. 지난 10월에는 유튜브 뮤직의 사용자 수가 멜론을 앞질렀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애플리케이션(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올해 10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음악 스트리밍 앱을 조사한 결과 1위는 459만 명의 유튜브 뮤직이었다. 뒤를 이어 멜론 454만 명, 지니뮤직 232만 명, 플로 149만 명, 네이버 바이브 106만 명, 스포티파이 54만 명, 카카오뮤직 36만 명, 벅스 32만 명 순이다.
그간 유튜브 뮤직은 빠른 속도로 사용자를 흡수하며 멜론과의 격차를 줄여 왔다. 이에 따라 역전은 ‘시간문제’라는 예측도 나왔다.
글로벌 미디어 공룡 넷플릭스는 지구상 가장 유연하고 빠른 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 비결이 무엇인지 혹시 알고 계시나요? 바로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하는 ‘심플 룰, 단순한 규칙’이 있다는 것입니다. ‘회사에 가장 이득이 되는 것을 하라’라는 규칙에 따라 매니저가 마뜩잖게 생각하는 아이디어라도 실무자가 옳다고 판단하면 실천에 옮기라고 떠민다고 합니다. 또 다른 사례를 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