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떨리는 마음으로 면접장에 들어선 당신, 목소리를 가다듬고 이 회사에서 앞으로 내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지, 그간 쌓아온 근거를 제시하며 면접관을 설득한다. 당신의 진심어린 노력과 달리, 회사는 당신을 탈락자로 분류한다. AI가 당신이 이 회사에 입사하면 3년 내 퇴사할 가능성이 70% 이상이라고 예측했기 때문이다.
#살인 미수 전과자 출신의 30대 남성이 슈퍼에서 식칼과 커다란 검은색 비닐 봉지를 구매했다. 이 남성은 인터넷에서 사체 유기 방법도 찾아봤다. 그 남성은 자택으로 돌아가는 길에 체포됐다. 소비행태와 인터넷 검색 내용을 분석한 AI가 이 남성의 잠재적 범죄 가능성을 90% 이상으로 판단한 것이다.
이들 사례는 먼 미래 얘기거나 소설 속에서나 등장하는 허구가 아닐 수 있다.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 예언자가 범죄자를 예측하는 ‘예방 치안’ 시스템을 선보인 것처럼 ’AI 예언자‘ 시대는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이를 학습·분석하는 AI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AI 예측의 정확도가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높아지고 있다. 활용 분야도 확대되고 있다. 기존에 보편적이었던 수요, 선호, 날씨 등의 분야뿐 아니라 최근에는 채용, 판결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기하급수기업들은 디지털기술을 활용해 지금까지는 생각조차 하지 못했던 일들을 실현하며, 업무 처리시간과 비용을 줄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있죠. 또 조직운영도 이에 발맞추어 새로운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됐죠. 그럼 선도기업들은 내부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어떻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 있을까요?